728x90
파이썬 버전: 3.x
파이썬의 bin()
함수는 정수형 데이터를 이진법 문자열로 변환하는 함수입니다. 이 함수를 활용하여 주어진 숫자를 이진수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.
예시 1: 10진수를 이진수로 변환하기
num = 10
binary = bin(num)
print(binary) # 출력 결과: '0b1010'
위의 예시에서는 10진수인 10을 이진수로 변환하여 결과를 출력하였습니다.
예시 2: 음수를 이진수로 변환하기
num = -5
binary = bin(num)
print(binary) # 출력 결과: '-0b101'
음수를 이진수로 변환할 경우, 결과 문자열은 음수를 나타내는 부호(-)와 이진수를 나타내는 문자열('-0b')로 시작합니다.
예시 3: 이진수로 표현된 값 계산하기
binary = '0b1010'
num = int(binary, 2)
print(num) # 출력 결과: 10
bin()
함수를 사용하여 이진수로 변환한 값을 다시 10진수로 되돌릴 수도 있습니다.
활용 및 응용 방법
- 비트 연산을 수행할 때 이진수로 변환된 값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- 이진수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것이 메모리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.
- 이진수로 변환된 데이터를 다른 시스템과 통신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.
'파이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 bytearray() (0) | 2023.09.27 |
---|---|
파이썬 bool() (0) | 2023.09.27 |
파이썬 ascii() (0) | 2023.09.27 |
파이썬 any() (0) | 2023.09.27 |
파이썬 all() (0) | 2023.09.27 |